반응형 전체 글113 디아스포라(Diaspora)영화제의 역설 디아스포라(Diaspora)영화제의 역설디아스포라(Diaspora)를 이해하는 시민이 몇이나 될까? 언어의 격차는 차별을 낳는다. 디아스포라영화제를 주관하는 인천영상위원회는 인사말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주와 이민의 중심지였던 인천은 이제 환영의 도시를 넘어 ‘디아스포라(Diaspora)’의 도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중략) 디아스포라영화제는 경계를 넘어 공존의 가능성을 성찰하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자리입니다. 올해도 영화를 통해 세계 각지의 디아스포라의 삶과 문화, 그리고 그들이 건네는 공존의 메시지를 선보입니다.” 뭔가 있어 보이긴 하지만 슬픈 역설을 발견한다. 즉, 인천에서 환영받으려면 예수와 마호메트처럼 고향에서 박해받고 이민을 떠난 후 귀국해야 하는 역설과 고향(인천)에 있.. 2025. 5. 21. 인천간짜장에는 계란후라이가 있다 2012년 4월28일. 짜장면 탄생도시 인천에 ‘짜장면박물관’이 개관한다. 그것도 표준어로 군림한 ‘자장면’이 아닌 비표준어로 괄시받던 ‘짜장면’으로 표기되어 개관한다. 참고로,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2011년 8월부터 표준어가 된 짜장면은 대한민국 입맛을 사로잡고 표준어를 길들인 맛깔의 혁신이자 혁신의 언어이다. 여기에 더해, 혁신적인 창의력처럼 남발되는 융합·혼종·하이브리드를 들먹이지 않고 기름진 때깔의 온유한 달짝지근한 민초의 면발(짜장면) 위에 격조를 더하는, 그야말로 인천문화의 화룡점정(용 그림의 대미를 눈동자로 장식한다)을 계란후라이로 보여주는 인천간짜장은 인천미학의 노른자다. 기억하자. 인천간짜장에는 계란후라이가 있다. 짜장면 면발만큼 길.. 2025. 4. 6. 탱크주의로 녹슨 인천시교육청 탱크주의로 녹슨 인천시교육청(인천일보 2025.3.6. 19면) 장한섬(오페라 연출가) 인천 경제를 견인한 대우자동차는 1997년 외환위기로 좌초한다. 이후 대우그룹은 해체된다. 반면 LG는 1995년 그룹명을 변경하고 새로운 정체성으로 시대의 격랑을 뚫고 나아간다. 대우의 몰락과 LG의 비상은 ‘탱크주의’와 ‘엑스캔버스’라는 미학 차이로 해석된다. 즉, 20세기 대우전자는 탱크주의로 기능 강화에 집중하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고, LG전자는 엑스캔버스라는 브랜드로 바보상자 TV를 미술관으로 진화시킨다. 이후 LG전자 광고문구는 “가전, 작품이 되다”로 승화한다. 문제는 세계경영을 탱크주의로 밀어붙이다 몰락한 대우처럼 인천의 생산방식과 권력 구조는 변한 게 없다. 특히 인천시교육청은 ‘세계시민교육’을.. 2025. 3. 10. '이처럼 사소한 것들'의 비범함 『이처럼 사소한 것들』의 비범함 이 소설은 주인공을 주인공으로 탄생시킨 요소를 보여준다.첫째, 사랑받고 사랑하는 인간. 서류상 아버지가 ‘미상’인 주인공은 미혼모인 어머니 성(姓)을 물려받지만,세상 편견으로부터 자신의 정체성을 지킨다. (77쪽) 둘째, 책 읽는 인간. 대모(代母)라 할 수 있는 미시즈 윌슨에게 유년시절 책 선물을 받는다.그리고 사전 사용법을 배운 후 자기 ‘어휘’를 사용한다.훗날 아내에게 받고 싶은 크리스마스 선물로 (가정 공공재로 비치하고자) 소설과 사전을 말한다. (42쪽) 셋째, 길을 잃고 길을 찾는 인간. 현대인은 길이 아닌 궤도 속을 왕복하지만주인공은 낯선 ‘샛길’로 들어가 길을 잃는다.하지만 낯선 타자에게 인사하고 길을 묻고 길 안내를 받는다.그 길은 ‘외길’이 아닌 ‘갈림길.. 2025. 2. 7. 해불양수를 바다에 던지자 해불양수를 바다에 던지자인천일보 2025. 2. 4(화) 19면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7947 [시론] 해불양수를 바다에 던지자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2024년 12월 11일 개관했다. 인천시민으로 의구심이 생긴다. 해양도시 인천에는 왜 인천시립해양박물관이 없었나? 그리고 인천에는 왜 해양대학교와 수산대학교가 없는가?www.incheonilbo.com 2025. 2. 5. 사라진 仁川역사자료관 사라진 仁川역사자료관 인천시사편찬위원회 직무를 담당한 역사자료관이 사라졌다.인천역사자료관이 사라진 자리에는 ‘인천시민애집’이 들어섰다. 그것도 인천시민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문제는 ‘인천시민愛집’ 개관으로 인천시민에게 인천시사편찬위원회와 역사자료관 존재는 잊혔고, 현재 상황을 아는 인천시민은 아무도 없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변화를 인천시가 주도하면서 역사를 왜곡한다는 것이다. 역사자료관은 인천시장 관사였다가 민선 1기 최기선 인천시장의 뜻으로, 2001년 인천시민을 위한 (문자 그대로) ‘역사’를 위한 공간으로 개방되었다. 20년 가까이 인천역사자료관이었던 곳을 인천시는 일방적으로 ‘인천시민애집’으로 바꾸었다 (인천시청 앞 ‘인천애뜰’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화도진도서관(2층) ‘개항과 인천.. 2025. 1. 13. ‘미추홀도서관’이 될 뻔했던 인천‘북구도서관’ ‘미추홀도서관’이 될 뻔했던 인천‘북구도서관’ 1995년 인천시 북구(일제 행정구)가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구된 후 인천시교육청 소속의 북구도서관은 ‘명칭변경공모’를 몇 번 (올해도 1월 13일까지 공모) 진행했지만 그대로다. 20년 전쯤 북구도서관은 ‘미추홀도서관’으로 변경되어 인천 대표도서관이 될 뻔했다. 그러나 부평구 역사를 왜곡하는 지명이라 선정되지 않았다. 현재 미추홀도서관은 미추홀구가 아닌 인천 남동구에 있고, 인천시 남구는 (학산이 아닌) 미추홀구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런 곳에서 시민 정체성이 생길까? 인천시교육청의 조직문화는 극강의 좀비문화를 자랑한다. 소박한 예를 들자면, “1999인현동화재(참사)추모제” 현수막 문구를 수정하는데 햇수로 3년 걸렸다. 2000년대 ‘굴포천살리기시민모임’의.. 2025. 1. 10. 인천시교육청 ‘읽걷쓰’가 엉망인 이유? 위 신문 타이틀의 이상한 점을 발견하려면 아래 문장을 분석하면 된다.“대한민국의 행복은 세계평화에 달렸기에 그 책임은 UN에 있습니다.” - 대한민국 대통령 OOO 메시지의 문장이 이상한 게 아니라 메신저의 분별력이 이상해 보인다. 아래와 같이 수정해야 그나마 납득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행복은 세계평화에 달렸기에 (대한민국) 정부는 그 책임을 UN과 함께 하겠습니다.” - 대한민국 대통령 OOO 인천시교육청은 ‘학생성공시대’이라는 구호를 내세운다. “대한민국 ‘학생성공’이란 무엇일까?” 1) 멋대로 산다 2) 부자가 된다 3) 인천대 입학 4) 서울대 입학 5) 입학은 서울.. 2025. 1. 10. 이전 1 2 3 4 ··· 15 다음 반응형